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함께 성장하는 학교 <동행스쿨>
    PROGRAM 2025. 10. 28. 09:54

     

    1. 지식을 가두지 말고 흐르게 하라

     

    한국NPO스쿨이 주관하는 프로보노로 활동

    <동행스쿨>

     

    *본 과정은 초청방식의 전액 장학과정입니다.

    (Invitation Only Scholarship Program) 

     

     

    우리는 현장의 성장을 위해

    자신의 노하우를 기꺼이 공개합니다.

    지식을 감추지 말고 자발적으로 공유합니다.

     

    1회 단타 강의로 불가능한 성장을

    연속적인 소그룹 코칭으로 이뤄냅니다. 

    돈이 아니라 의지와 경험으로 선발됩니다.

     

    같은 길을 함께 걷고

    함께 성장하기에

    <동행스쿨>입니다.

     

     

    참여 대상

    깊은 경험이 만날 때 배움의 깊이도 달라집니다.

    동행스쿨의 참가 자격이

    현장 경력 7년이상, 혹은 기관장급인 이유입니다.

     

    이는 단순한 '조건'이 아닙니다.

    학습의 깊이를 보장하는 약속입니다.

     

     

    동행스쿨 모금파트 수료식(2025)

     

    <자원봉사 이음>과 콜라보한 동행스쿨(벌써 2기 운영)

     

     


     

     

    2. 공익 리더의 성장에 동행합니다

     

    우리의 사명, 현장의 건강성 회복을 위한 기여

    <동행스쿨>

     

     

    강의보다 성찰

    성과보다 관계

    경쟁보다 동행

     

    참가자 각자의 실제 현장 이슈를

    함께 탐구하고 해결해 나갑니다.

     

    진정한 배움은 

    함께 성장할 때 시작됩니다.

    이것이 우리의 철학입니다.

     

     

    프로그램

     

    지금 시급한 것이 무엇입니까?

    현장의 건강성 회복도 실력이 있어야 가능합니다.

     

    조직운영, 모금, 지역조직화

    가장 중요한 과목만 추렸습니다.

     

    테이블 컨설팅의 포맷을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는 과목들입니다.

     

     

     

     

     선택과정1 경영스쿨 

     

    NO 주제 세부내용 진행
    1 현대사회와 공익활동
    시민사회와 공익활동
    비영리조직의 설립
    비영리조직의 변화
    이재현
    2 사명과 전략
    전략기획의 기초
    비전체계의 도출
    사명과 사업의 연계
    이재현
    3 이해관계자와 거버넌스
    이해관계자와 조직
    이해관계자 구조화
    이해관계자 경영
    이재현
    4 인재관리와 리더십
    사명 중심의 인사
    인재 관리와 육성
    성장을 돕는 리더십
    이재현
    5 성과평가와 임팩트
    성과평가의 원리
    평가체계의 실제
    성과보고서 작성
    이재현
    6 조직문화와 건강성
    조직문화의 개념
    조직형태와 문화
    건강한 소통문화
    이재현

     

     

     

     

     선택과정2 모금스쿨 

     

    NO 주제 세부내용 진행
    1 필란트로피와 모금의 역사
    모금담당자라면 꼭 알아야 하는 필란트로피의 개념
    근현대의 역사를 가로지르는 모금의 역사와 사건사고
    수금에서 모금으로, 청구에서 요청으로의 혁명
    이재현
    2 모금의 본질과 원리
    왜 모금하는가? 왜 기부하는가?
    우리는 기부자를 어떤 존재로 해석하는가?
    Fundraising officer가 아니라 Development officer
    최지혜
    3 조직이 이끄는 모금
    조직과 모금의 상관관계(비전부터 사업까지)
    조직의 버넌스는 왜 존재하는가? 모금에서의 역할
    조직 주변에 존재하지 않는 부자 찾기
    이재현
    4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고액모금
    모르면 손해인 Major gift진짜 의미
    일반모금과 비교되는 고액모금의 다른 문법
    빠지면 못 나오는 모금의 늪에서 탈출하기
    최지혜
    5 고액모금 실행 사이클
    모금의 기본 원리, 모금 실 사이클 이해하기
    탐색, 발굴, 경작, 요청의 전반부 흐름 이해
    예우, 보고, 환류, 개선의 후반부 흐름 이해
    최지혜
    6 고액기부자
    1:1 Move Management
    모금 실행 사이클 전체를 담는 기술
    ‘Move’는 무엇이며 ‘Management’는 무엇인가?
    고액기부자 1:1 Move 적용하기
    최지혜
    7 고액기부자가 이끄는
    기부자 통합 캠페인
    •멀티플 테이블과 전혀 다른 1/N과 피라미드 모델
    전체를 리드하는 리드 기프트의 역동과 전략
    캐피탈 캠페인의 원리로 캠페인 바라보기
    최지혜
    8 고액기부자 클럽
    설계와 운영
    기빙 소사이어티의 의미와 목적, 실행 방안은?
    고액기부자 클럽이 백화점 VIP 등급과 다른 이유
    우리 단체에서 고액기부자 클럽 론칭하기
    최지혜
    9 고액모금 자선행사
    완벽한 행사에 좀처럼 기부하지 않는 사람들
    행사 식순 만큼 중요한 행사의 앞과 뒤, 그 이면의 문제
    목적에 따른 행사 기획: 기부요청, 감사, 관계경작
    최지혜
    10 캐피탈 캠페인
    캐피탈 캠페인의 의미와 주요 전략
    캐피탈 캠페인과 일반 캠페인의 차이점
    캐피탈 캠페인이 유독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
    최지혜
    11 계획기부
    유산, DAF, 비현금성자산, 생전 기부의 특징
    국내 유산기부 메시지와 관점의 한계, 법적 이슈
    기부 자산을 둘러싼 기부자의 진짜 문제와 이슈
    최지혜
    12 고액기부 실무
    담당자에게 요구되는 고액모금 직무 역량
    실무에서 직면하는 모금윤리와 기부자 권리
    리더들의 참여를 이끄는 고액모금 실무 전략
    최지혜
    13 모금의 성과평가
    모금이란 '목표'인가, '결과'인가, 무엇으로 봐야할까?
    논리 구조를 통해 모금의 성과평가 체계 구축
    모금의 성과를 보고서에 담는 기술은?
    이재현
    14 모금을 촉진하는 조직문화
    기부자가 먼저 눈치채우리단체 조직문화
    사회문화적 맥락이 모금의 원리를 바꾸는 현상
    일본/미국/몽골/한국의 자선문화 한눈에 비교하기
    이재현

     

     

     

     

     선택과정3 CO스쿨

     

    NO 주제 세부내용 진행
    1 21세기 주민참여 활동
    가치토대
    모임은 정성을 들인 선물
    참여자 소개 및 관계형성/참여욕구 및 기대나눔
    주민참여, 주민조직의 가치토대
    :
    사회적 자본, 민주성, 자발성, 공익성, 책임성
    주민조직 기술의 효용성
    강정모
    2 주민조직의 이륙
    예쁘지 않은 꽃은 없다
    우정과 환대문화 형성방법 실습1
    신뢰받는 모임의 건강한 엔진 : 사명과 비전 이해
    일상나눔과 학습을 위한 주민조직 설계 방법
    전략적 주민조직 설계전략 : 목적과 목표, 기획과 계획
    목적별 주민조직 의사결정 방법
    강정모
    3 주민조직의 상승
    사람이 온다는 건 어마어마한 일
    우정과 환대문화 형성방법 실습2
    성과있는 주민조직의 관점 : 사람조직, 논의결정, 계획실행
    초기조직 운영방법 : 팀워크 형성 방법 실습
    지역이슈 및 의제사례 이해 및 분석
    강정모
    4 주민조직의 활강1
    조직은 차이를 빚는 예술
    우정과 환대문화 형성방법 실습3
    지역을 변화시키는 힘 : 갈등역동 이해, 입장과 욕구
    주민조직 역동관리를 위한 의사소통 실습1 : 공감경청
    주민조직 역동관리를 위한 의사소통 실습2 : 열린질문
    강정모
    5 주민조직의 활강2
    갈등은 조직을 움직이는 엔진
    우정과 환대문화 형성방법 실습4
    주민조직 역동관리를 위한 의사소통 실습3 :  I message
    주민조직 역동관리를 위한 의사소통 실습4 :  요약하기
    강정모
    6 주민조직의 질주1
    주민참여는 지역을 바꾸는 힘

    우정과 환대문화 형성방법 실습5
    주민조직 의제도출 방법실습1 : 아이디어 촉진, 발산 및 수렴
    주민조직 의제기획 방법실습2 : 아이디어 숙의, 융합
    강정모
    7 주민조직의 질주2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우정과 환대문화 형성방법 실습6
    주민조직 의제숙의 방법실습1 : 다양한 토론, 토의방법 실습
    주민조직 의제계획 방법실습2 : 공공의제 계획서 작성 전략
    강정모
    8 주민조직의 하강과 착륙
    모든 순간이 다 꽃봉오리
    우정과 환대문화 형성방법 실습7
    주민조직 운영과 활동평가 방법
    주민조직 활동마무리 방법 실습
    의미있는 사업 및 프로그램 수료식 방법 실습
    강정모
    9 지속적 활동을 위한
    공익활동가 사명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나에게 주어진 길을 걷기
    우정과 환대문화 형성방법 실습8
    지속가능한 활동역동 및 자원 관리 방법
    주민조직 담당 공익활동가 소진예방 및 성장전략
    주민조직 담당 공익활동가 사명선언서 작성 및 나눔
    강정모

     


     

     

     

    3. 수지타산 보다 현장의 성장이 먼저입니다

     

    비즈니스를 넘어 생태계 회복을 돕는 큰 그림

    <동행스쿨>

     

     

    현장에서 20년 이상 축적된 노하우를

    아무 조건없이 나누는 과정입니다.

    수백만원짜리 교육과정을 오픈합니다. 

     

    지식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아니라

    같은 길을 걷는 동료이자 동문입니다.

     

    우리는 '지식 전달' 보다 '현장 성찰'을

    '단기 성과'보다 '지속가능한 변화'를 추구합니다.

     

     

    학습방식

    강의로 끝나지 않고

    고민을 함께 풀어가는 테이블까지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전문성은 축적되고 전문가가 탄생합니다. 

     

    장학제도는 단순히 무료라는 뜻이 아닙니다.

    배움을 후원한다는 뜻입니다.

    리더 한 사람의 성장이

    생태계 전체의 성장을 이끈다고 믿습니다.

     

     

    수료자에게 부여되는 e뱃지

     

     

    20시간을 마친 모금 과목 수료증

     

     

    활동 스케치를 보려면 아래 ↓ 

    https://youtu.be/sraYdRlEM2o?si=_rF5i_upEJe7OgGt

     


     

     

     Q n A 

     

     

    <동행스쿨>이 무엇입니까?

    한국NPO스쿨이 직접 운영하는 인재발굴 및 양성 프로그램입니다.

     

     

    특징이 무엇입니까?

    현장형 인재를 양성하는 장학과정으로 소그룹 과외를 벤치마킹했습니다.

     

     

    과목이 어떻게 됩니까?

    1)조직운영, 2)고액모금, 3)지역사회조직화로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참가자는 주로 누구입니까?

    현장 경력 7년 이상 혹은 현직 기관장급입니다.

     

     

    실제 수업은 어떻게 진행됩니까?

    교재로 지식을 전수하고 실제 사례의 코칭/멘토링을 병행합니다.

     

     

    수업과정은 얼마나 소요되나요?

    퇴근 후 매주 1회로 설정하고 총 10회 전후로 구성됩니다.

     

     

    어디서 진행되나요?

    신촌의 전용 세미나실 '지혜한공간'에서 진행됩니다.

     

     

    수업료가 있나요?

    아니오. 전액 무료로 진행되는 장학과정입니다.

     

     

    참가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초청이 우선이지만 신청의사를 밝힌다면 검토의 대상이 됩니다.

     

     

    특별한 참가자격이 있습니까?

    우리의 철학에 공감하고 동행하려는 의향이 중요합니다.

     

     

    수료 후 후속과정이 있습니까?

    수료 후에는 한국NPO스쿨의 동문(alumni)으로 활동합니다.

     

     

    동문의 활동이 무엇인가요?

    지식나눔 세미나, 워크숍, 친교활동이 자유롭게 권유됩니다.

     

     

     

     

    저희와 함께 성장할 분을 찾습니다.

    지금, 동행의 자리에 합류하세요.

     

    npo@nposchool.com

     

    'PROGRA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입을 위한 온보딩 <애프터스쿨>  (1) 2025.05.09
    공익 리더십  (1) 2024.07.30
    미국 CFRE 모금자격증 인증 과정  (0) 2024.06.19
    고액모금 아카데미 <지혜한모금>  (0) 2024.02.01
    역량강화 뮤직테라피 워크숍  (0) 2024.02.01

    댓글

Managed by NPOschool. Based on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