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JOR GIFT CENTER]
-
(워크북) 고액모금 워크플로우└ [MAJOR GIFT CENTER] 2025. 8. 7. 18:19
고액모금, 어디에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가장 좋은 것은 우리 기관이 할 수 있는 일부터, 우리 기관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기존 기부자들로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1단계. 기존 고액기부자를 살피는 것에서부터 시작하기(고액모금 시작 워밍업) 우리 기관에서 고액기부금의 기준은 얼마인가요? 이 기준에 해당되는 고액기부자들의 현황은 어떠한가요?우리 기관은 어떤 태도와 예우로 이 기부자들을 대하고 있나요?혹시 이 중에 관계가 소원해진 기부자는 없나요? 위의 내용을 점검하는 것 만으로도 기존 고액기부자와의 의미 있는 스킨십을 다시 시작할 수 있고, 예우 정책을 개선할 수 있다. 기존 기부자의 재기부 확률은 새로운 기부자의 첫 기부 확률보다 무려 60% 이상 높다는 것을 기억하자..
-
(브리프) 모금의 역사└ [MAJOR GIFT CENTER] 2024. 6. 19. 17:56
왜 모금의 역사가 중요합니까?역사를 알면 그 취지와 원리를쉽게 습득할 수 있기때문입니당 오늘날의 모금방식은 어떤 계기로 생겼을까요?모금(fund-raising)과 수금(money-collecting)은 무엇이 다를까요? 역사적 배경을 알면그 필요성을 알게 되고필요성을 알면 원리를 깨우칠 수 있습니다. 모금에 전략적 개념은 언제 시작됐나?회원관리 개념은 언제 시작됐나?전화모금의 시작은?유산기부의 시작은? 아 궁금하다 궁금해 ㅡ,.ㅡ 모금담당자들에게이 보다 더 좋은 교육자료가 있을까요?기초가 허약하면 꿀팁에 의존하게 됩니다! 아무 조건없이 저희가 조사한 자료를 공유해드립니다. 자료 다운받기-> 모금에 관계된 더 많은 내용을 메이저기프트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홈페이지 바로가기 ..
-
(브리프) 필란트로피란 무엇인가?└ [MAJOR GIFT CENTER] 2024. 2. 21. 22:27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다Philanthropy가 무엇인지..째릿! 비영리 영역에서 일하다보면언젠가 꼭 만나게 되는 개념「Philanthropy」 자선, 나눔, 복지의 개념은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됐을까?Charity와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미국은 필란트로피의 나라라며?그래서 기부문화가 발달했다던데..긁적 관련된 책도 별로 없지만읽어봐도 잘 안 잡히는 개념중요하다는 글, 실천하자는 글은 많은데개념의 이해를 돕는 글은 너무 부족합니다 그래서 조사했습니다작업 시간 6개월만만치 않네요 후후.. 완벽한 자료는 아닙니다학술논문도 아닙니다틀리거나 부족한 부분도 있을 겁니다조사해서 정리한 수준의 자료니까요 자료를 너무 의지하지 마시고 가볍게 살펴본 후본격적으로 공부해보는 계기가 되시길 바랍니다 아무도 하지 않..
-
(워크북) 모금캠페인 생각정리 워크북└ [MAJOR GIFT CENTER] 2024. 2. 15. 17:52
불황과 저성장의 시대에모금역량이 절실합니다. 육성의 시대에서 각자도생의 시대가 되었습니다 ㅠㅠ그 어느때보다도 비영리조직의 모금/후원개발 역량이 요구되는 요즘입니다. 이에 비영리조직들이 재정적 독립성을 가질 수 있도록고액모금아카데미를 기획했고 PROGRAM 게시판에 공개했습니다. (아래 링크) "이 교육에 참여 여부와 관계없이자체적으로 학습이 가능하도록 교재의 일부를 워크북의 형태로 공개하고자 합니다. 꺅!" 모금스터디에 사용하세요새로운 시선이 보입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신다면 더 좋겠지만여건이 쉽지 않아 많이 힘드시죠? 첨부한 워크북을 동료들과 함께 활용하면서펀드레이징의 힘을 키우시기 바랍니다. 데헷 "모금캠페인 전에 동료들과 함께 토론하며복잡했던 생각을 정리해 보세요" Hope That ..
-
(워크북) 개인성격유형에 따른 모금역량 진단지표└ [MAJOR GIFT CENTER] 2018. 9. 17. 22:57
외 않 되? 모금교육을 한마디로 압축하면? "외 않 되? (왜 안 돼?)" 맞아요. 교육받았는데 심지어 열심히 받았는데 왜 기관에 돌아가서 해보려면 안 될까요? 한국사회에도 지난 20년간 모금교육이 수없이 진행되었습니다.그런데 어떤 사람은 교육을 받지 않고도 모금을 잘 합니다.반면 어떤 사람은 교육을 많이 받았는데도 모금을 못 합니다. 왜 그럴까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래서 만들었습니다.성격유형에 따른 모금역량 진단지표입니다. 각자의 재능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포지션이 주어지지 않는다면아무리 치밀한 모금계획이라도 작동을 멈추게 됩니다. MBTI 전문가와 모금전문가의 콜라보로 만들어진 체험형 워크북을아래의 첨부화일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연구한 사람: 이재현 대표(NPO스쿨 대표), 강정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