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금
-
(가이드북) 함께 쓰는 모금명분서 가이드북CONTENT 2025. 1. 18. 23:07
성공적인 모금을 위하여 재정난이 심각해지는 비영리 영역에서후원개발을 위한 고민이 하루이틀이 아니지만성공적인 모금캠페인을 수행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특히 고액모금을 위해 캠페인을 기획한다면 무엇보다 모금명분서(case statement)가 필수적이죠 영미권에선 다른 말로 case for support라고도 합니다.우리말로는 모금명분서, 후원요청서 등으로 다양하게 불렸지만일각에선 홍보물 정도로 인식하고 있어 안타깝습니다! 많은 현장의 단체들이 연례 캠페인에서 소액후원자를 힘겹게 모집하고 종료하거나후원의 밤 행사를 치루는 것으로 연례행사와 같은 '숙제'를 마무리하는 게 현실입니다. 제대로 된 캠페인을 위하여 후원자(기부자)를 돈만 내는 사람이 아니라 단체의 파트너로 생각하려면조직의 중심을 잡고이해관계..
-
(브리프) 필란트로피란 무엇인가?└ [MAJOR GIFT CENTER] 2024. 2. 21. 22:27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다Philanthropy가 무엇인지..째릿! 비영리 영역에서 일하다보면언젠가 꼭 만나게 되는 개념「Philanthropy」 자선, 나눔, 복지의 개념은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됐을까?Charity와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미국은 필란트로피의 나라라며?그래서 기부문화가 발달했다던데..긁적 관련된 책도 별로 없지만읽어봐도 잘 안 잡히는 개념중요하다는 글, 실천하자는 글은 많은데개념의 이해를 돕는 글은 너무 부족합니다 그래서 조사했습니다작업 시간 6개월만만치 않네요 후후.. 완벽한 자료는 아닙니다학술논문도 아닙니다틀리거나 부족한 부분도 있을 겁니다조사해서 정리한 수준의 자료니까요 자료를 너무 의지하지 마시고 가볍게 살펴본 후본격적으로 공부해보는 계기가 되시길 바랍니다 아무도 하지 않..
-
(워크북) 모금캠페인 생각정리 워크북└ [MAJOR GIFT CENTER] 2024. 2. 15. 17:52
불황과 저성장의 시대에모금역량이 절실합니다. 육성의 시대에서 각자도생의 시대가 되었습니다 ㅠㅠ그 어느때보다도 비영리조직의 모금/후원개발 역량이 요구되는 요즘입니다. 이에 비영리조직들이 재정적 독립성을 가질 수 있도록고액모금아카데미를 기획했고 PROGRAM 게시판에 공개했습니다. (아래 링크) "이 교육에 참여 여부와 관계없이자체적으로 학습이 가능하도록 교재의 일부를 워크북의 형태로 공개하고자 합니다. 꺅!" 모금스터디에 사용하세요새로운 시선이 보입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신다면 더 좋겠지만여건이 쉽지 않아 많이 힘드시죠? 첨부한 워크북을 동료들과 함께 활용하면서펀드레이징의 힘을 키우시기 바랍니다. 데헷 "모금캠페인 전에 동료들과 함께 토론하며복잡했던 생각을 정리해 보세요" Hope That ..
-
(워크북) 개인성격유형에 따른 모금역량 진단지표└ [MAJOR GIFT CENTER] 2018. 9. 17. 22:57
외 않 되? 모금교육을 한마디로 압축하면? "외 않 되? (왜 안 돼?)" 맞아요. 교육받았는데 심지어 열심히 받았는데 왜 기관에 돌아가서 해보려면 안 될까요? 한국사회에도 지난 20년간 모금교육이 수없이 진행되었습니다.그런데 어떤 사람은 교육을 받지 않고도 모금을 잘 합니다.반면 어떤 사람은 교육을 많이 받았는데도 모금을 못 합니다. 왜 그럴까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래서 만들었습니다.성격유형에 따른 모금역량 진단지표입니다. 각자의 재능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포지션이 주어지지 않는다면아무리 치밀한 모금계획이라도 작동을 멈추게 됩니다. MBTI 전문가와 모금전문가의 콜라보로 만들어진 체험형 워크북을아래의 첨부화일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연구한 사람: 이재현 대표(NPO스쿨 대표), 강정모..
-
이재현 대표 경력과 활동ABOUT 2015. 3. 26. 23:53
이재현은 우리사회 1호 비영리조직 전문 경영컨설턴트다.그는 시민사회와 소셜섹터에서 컨설팅, 강의,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1998년 시민단체를 시작으로 대기업을 거쳐 2009년부터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랑의열매) 중앙회에서 국제협력담당자로 일하다 2010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미국 United Way Worldwide(세계공동모금회)의 합작으로 설립한 United Way Asia Pacific Learning Center(아시아태평양교육센터)에서 한국측 총괄 책임자가 되어 「비영리조직 운영의 Global Standard」를 한국 현장에 맞게 전파했다. 이어 2014년에는 유일한 한국인으로서, United Way Worldwide의 Director로 지명되어 아시아태평양교육센터의 초대 국장으로 일했고, 이때..